‘~가 돼’ vs. ‘~가 되’, 헷갈리지 않는 맞춤법 정리!

"세상의 모든 궁금증을 해결해주는 지식인사이트에서 궁금증을 해결해보세요.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"

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표현 중 ‘~가 돼’와 ‘~가 되’는 헷갈리기 쉬운 맞춤법 중 하나입니다. 두 표현 모두 자주 쓰이지만, 문법적으로 맞는 형태를 알아두면 더욱 정확한 문장을 쓸 수 있습니다. ‘~가 돼’와 ‘~가 되’의 차이를 정확하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.

‘~가 돼’와 ‘~가 되’의 차이

이 두 표현은 동사 ‘되다’의 활용형입니다. ‘되다’는 어미 활용에 따라 ‘돼’와 ‘되’로 변형되며, 각각의 쓰임새가 다릅니다.

  1. ‘~가 돼’
  • 동사 ‘되다’가 어미 ‘-어’가 붙어 활용될 때 ‘돼’로 줄여 씁니다.
  • 예시:
    • “그렇게 하면 성공이 돼.” (O)
    • “네가 리더가 돼야 해.” (O)
  • ‘되’에 ‘-어’가 결합하면 ‘되어’가 되고, 이를 구어체에서 줄여 ‘돼’가 됩니다.
  1. ‘~가 되’
  • ‘되다’가 어미 ‘-어’ 없이 그대로 활용될 때 사용합니다.
  • 예시:
    • “네가 리더가 되려면 준비가 필요해.” (O)
    • “그 목표가 되기는 어려워.” (O)
  • ‘-다’가 생략된 어간 형태이므로 뒤에 ‘-려면’, ‘-기는’과 같이 다른 어미가 붙어야 자연스럽습니다.

쉽게 구분하는 방법

  1. ‘되어’로 바꿔서 말해본다
  • 자연스럽게 ‘되어’로 바꿀 수 있으면 ‘돼’를 사용
  • 어색하면 ‘되’를 사용 예시:
  • “그게 꿈이 돼(되어).” (O)
  • “그게 꿈이 되면 좋겠다.” (O, ‘되어면’은 틀린 표현)
  1. 뒤에 다른 어미가 붙는지 확인한다
  • ‘되’ 뒤에는 ‘-려면’, ‘-기는’ 등이 붙을 수 있음
  • ‘돼’는 어미 ‘-어’가 포함된 줄임말이므로 뒤에 다른 어미가 붙지 않음 예시:
  • “리더가 돼!” (O) (명령문)
  • “리더가 되려면 노력해야 해.” (O) (‘되려면’이 자연스럽게 연결됨)

자주 틀리는 표현 정리

  1. “이게 꿈이 돼야 해.” (O) / “이게 꿈이 되야 해.” (X)
  2. “성공이 돼서 기뻐.” (O) / “성공이 되서 기뻐.” (X)
  3. “그 일이 가능하게 되었다.” (O) / “그 일이 가능하게 돼었다.” (X)

이제 ‘~가 돼’와 ‘~가 되’의 차이를 확실하게 이해하셨을 것입니다. 헷갈릴 때는 ‘되어’로 바꿔서 말해보는 방법을 활용하면 올바른 표현을 쉽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.

X